· | 영역별 직무스트레스요인 점수는 다음에 제시한 공식에 의거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. |
영역별 환산점수 = (해당 영역의 각 문항에 주어진 점수의 합 - 문항개수) X 100 / (해당 영역의 예상 가능한 최고 총점 - 문항개수) |
· | 직무스트레스요인의 영역별 환산점수는 <별표 2>와 <별표 3>에 참고로 제시한 한국 근로자의 성별 중앙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. 또한 회사에서 집단적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면 회사 전체의 측정 중앙값을 산출하여 <별표 2> 또는 <별표 3>의 양식에 기록해 놓고 평가를 위한 상대적 비교의 참고값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. |
부서별 특정 영역 직무스트레스요인 환산점수가 회사 중앙값에 비하여 높거나 <별표 2>와 <별표 3>에 제시된 한국 근로자의 성별 참고값보다 높다는 것은 비교집단에 비행 해당 직무스트레스요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는 의미이다. |
· | 비교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요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직무스트레스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. 그러나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나 업무성과 저하를 미리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기 이전이라도 비교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스트레스요인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는 부서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을 줄여주거나 소속 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을 키워주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. |
별표2 | 성별 영역별 직무스트레스요인 환산점수에 대한 참고값 |
다운로드 받기
|
---|---|---|
별표3 |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(단축형 + 물리환경) |
다운로드 받기
|
자료 |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|
다운로드 받기
|
자료 | 직무스트레스 설문서 |
다운로드 받기
|